본문 바로가기
전문가가 되는 길(심화)

논문은 현실과 다르기 때문에 믿을게 못 된다? :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이란 무엇인가

by 올뉴핏 2019. 9. 4.

서론

'Evidence Based Medicine', '근거 중심 의학'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Evidence Based" 들어가는 따른 용어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Evidence Based Practice (EBP), Evidence Based Sports Medicine (EBSM), Evidence Based Health Care (EBHC) 같은 용어들이 각각의 분야에 맞게 변형되어 쓰이고 있다. 

 

이런 '근거 중심'이라는 말을 유독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대부분은 아마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그들 중에는 연구(research)라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조차 못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거니와 대학원에서의 힘든 연구 생활을 마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다. 근거 중심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주된 비판점은 "논문이랑 현실은 다르기 때문에 논문대로 해서는 된다" 것이다. 물론, 또한 이런 주장에는 상당 부분 동의한다. 하지만, 나는 근거 중심이 들어가는 관련 용어들이 의미가 왜곡된 쓰이고 있으며 관련 직종 종사자들은 (특히나 트레이너) 해당 용어의 정확한 의미를 모른채 무분별하게 비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글을 통하여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 무엇인지 본질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이란?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이란 무엇인가? Sackett et al.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을 "Integration of the best research with clinical expertise and patient value to make clinical decisions" 정의하였다. 중요한 부분은 ''Integration of the best research" 인데, 이것은 '내가 보고자 하는 내용의 증거들을 긁어 모아 통합시키는 ' 의미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선수 또는 고객을 대상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그와 관련된 여러 연구들을 모아 통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합리적인 임상적 결정을 내리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A라는 운동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A라는 운동의 효과를 연구한 연구들을 모두 모아서 통합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분석을 토대로 현장 결정까지 이어가는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에서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관련 연구들을 모아서 통합하고 분석한다 했다. 과정에서 선택되는 연구들은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는 임상적으로 관련이 깊은 연구여야 한다는 점과 선수 (고객) 중심의 연구여야 한다는 점이다. 조건에 맞고 근거 등급이 높은 여러 연구들을 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가 이전까지 받아들였던 운동, 훈련법, 재활 등의 효과를 증명할 수도 부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새로운 훈련 방법, 훈련 접근 등을 제시할 수도 있다.

 

제대로 알아야 제대로 비판할 수 있다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 또는 근거 중심 치료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논문이랑 현실이 다르다는 , 논문대로 해서는 된다는 등을 주장한다. 그것은 직관, 경험과 함께 이루어 져야 하며, 우연과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유연한 판단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충분히 설득력있다. 그렇지만 앞서 언급했듯,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 치료는 자신이 논문 참고해서 임상적 결정을 하고 행위로 이어지는 것을 것을 일컫지 않는다. 임상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찾은 연구들의 (quality) 평가해야 하고, 데이터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systematic and meta-analysis) 효과의 여부와 정도를 수치화 해야 한다. 또한 그렇게 나온 결과물을 다시 고찰해야 한다. 근거 중심을 비판하는 자들은 자신이 비판하고 있는 것이 정말 "근거 중심" 맞는지 돌이켜 필요가 있다.

 

한편,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학술 발표 대회 등에서 사용하거나 트레이너나 코치가 자신의 트레이닝을 말할 사용하는 Evidence Based Medicine, Practice, Approach, Training 등의 용어는 위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자기 자신이 궁금한 임상적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그와 관련된 가장 최고의 연구들을 모아 통합하고 분석하였는가? 또는 이미 분석되어 있는 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 메타 분석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적 결정을 내렸는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근거 중심이라 말할 없다. 그것은 자신의 운동 지도 행위 또는 학술 발표에 단지 참고문헌이 존재하는 뿐이다.

 

글을 마치며

근거 중심이라는 말은 환자나 고객을 어떻게 관리하고 치료해야 할지 알려주는 요리책(cookbook)이나 청사진(blueprint)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너무 믿고 추종해서는 된다 (수술과 같은 의료 상황에서는 조금 다르다). 그저 임상적 결정을 내리는 데에 있어 도움을 얻을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만 알면 된다. 하지만 근거 중심의 본질을 알지 못하고 의미를 왜곡하여 무조건적으로 비판한다면, 자신이 정규 분포에 들어가지 않는 외생 변수들만을 생각하며 살아온 것은 아닌지 생각해 필요가 있다.

 

 

 

p.s. 글은 Evidence Based Sports Medicine 기준을 두어 전개된다. 특히 여기서 언급되는 EBM, EBP Training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리치료 또는 의학 분야와는 거리가 있을 있다.

 

p.s. 한국에서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을 제대로 배우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칼럼 하단에 있는 Bibliography 있는 논문들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정석으로 배우기는 힘들지만, 트레이너가 어떻게 근거 중심 스포츠 의학을 현장에서 활용해야 하는지 간접적으로나마 있을 것이다.

 

p.s. 올뉴핏에서는 기본적으로 근거에 기반하여 운동 프로그램 초안을 디자인하며, 이후 다른 현장가들의 조언과 나의 직관을 가미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시킨다.

Bibliography

Denegar, C. R., & Hertel, J. (2002). Clinical education reform and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2), 127.

 

Sackett, D. L., Rosenberg, W. M., Gray, J. M., Haynes, R. B., & Richardson, W. S. (1996). Evidence based medicine: what it is and what it isn't.

 

Steves, R., & Hootman, J. M. (2004). Evidence-based medicine: what is it and how does it apply to athletic training?.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9(1), 83.

 

올뉴핏 운동 디자이너 권준형

 

올뉴핏 인스타그램 @allnewfit.official

권준형 인스타그램 @jh_sportsmedi

 

올뉴핏 로고

 

댓글